[Tools]
<STUDY>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구성된 인프라 환경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로 구현하기에 적합
- 컨테이너를 서비스 단위로 포장하여 배포, 확장이 용이함
- 컨테이너, 컨테이너 관리, 개발 환경 구성 및 배포 자동화, 모니터링
❓ 컨테이너
운영체제 커널에서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 상태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지원하는 도구
1️⃣ 도커
컨테이너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도와주는 컨테이너 도구
- 운영 체제 환경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환경에서 일관된 결과 보장
- 컨테이너디(Containerd), 크라이오(CRI-O), 파드맨(Podman) 등
2️⃣ 쿠버네티스
다수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데 사용
- 컨테이너의 자동 배포, 배포된 컨테이너에 대한 동작 보증, 부하에 따른 동적 확장 등의 기능 제공
- 컨테이너 인프라에 필요한 기능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솔루션
- 도커 스웜(Docker Swarm), 메소스(Mesos), 노마드(Nomad) 등
3️⃣ 젠킨스
지속적 통합, 지속적 배포 지원하는 도구
- 개발한 프로그램의 빌드, 테스트, 패키지화, 배포 단계 자동화하여 개발 단계 표준화 (개발 생산성 향상)
- 뱀부(Bamboo), 깃헙 액션(Github Action), 팀시티(Teamcity) 등
4️⃣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
- 프로메테우스로 수집한 데이터를 그라파나에서 시각화
- 중앙 모니터링이 필요한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가능
- 프로메테우스 & 그라파나 컨테이너로 패키징되어 동작
- 최소한의 자원으로 쿠버네티스의 클러스터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
-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도구: 데이터독(DataDog), 인플럭스DB(InfluxDB), 뉴렐릭(New Relic) 등
- 데이터 시각화 도구: 키바나(Kibana), 크로노그래프(Chronograf) 등
회사에서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는 하는데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그동안 미뤄뒀던 공부를 시작했다.
사실 백엔드 개발을 시작한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적응하기에도 바쁘다는 핑계로 소홀했던 것 같다.
하지만 이제 어느정도 적응이 끝났고 인프라에 대해서도 궁금해져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정확히 지금 사용하고 있는 도구들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지 간단하게 먼저 알아보았다.
다음 글부터는 도커와 쿠버네티스에 대해 본격적으로 기록해보려고 한다.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를 통해 공부하고 있다.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그날까지 화이팅!
ez1n - Overview
Front-End Developer. ez1n has 19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